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 과정에서 교회가 ‘회복과 대비의 공동체’로서 지역사회와 연대하며 기후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됐다.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김종생 총무) 디아코니아위원회(송정경 위원장)와 국회 기후위기대응특별위원회 소속 박정현 국회의원이 함께 4일 오전 10시 30분부터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영남지역 산불 피해복구 한국교회 라운드테이블 – 기후재난 대응을 위한 매뉴얼 작성 및 교회 TF 구축 컨퍼런스’를 개최한 것이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영남권 산불 피해 지역 목회자와 지역연합회 임원 및 실무자 70여 명이 참석했으며, 참석자들은 “지역 교회와 주민이 주도적으로 재난 대응 모델을 구축해야 하고 재난 대응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정책 제안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기조강연을 맡은 장윤재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장은 ‘기후재난 이후의 교회의 생태적 전환’을 주제로 오늘날 기후위기와 전쟁, 민주주의 후퇴의 뿌리를 신자유주의 50년의 불평등 구조에서 찾으며 “이제 개인 윤리를 넘어 제도·정책의 전환으로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원장은 “희년을 오늘 여기의 질서로 실현하고, 탐욕선과 빈곤선 설정을 통한 불평등 억제, 빚 탕감과 공동선 중심의 경제로의 전환, 생태적 회복을 이루는 교회의 공적 소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독일개신교연합(EKD)의 2050 탄소중립 목표, 건축물 에너지 개선, FEST(개신교 학제간 연구소) 사례를 소개한 신익상 성공회대학교 인문융합콘텐츠학부 교수는 “기후재난 대응은 개인의 미시적 실천을 권력·정치가 작동하는 제도·정책의 거시 전환과 엮는 데 있다”고 진단하며 “교회 TF와 대응 매뉴얼이 사회-생태 변혁의 실질적 매개가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명숙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 교육자원부 실장은 영남 산불 복구 사례에서 교회·단체 협력, 트라우마 치유, 법 제정 추진 등 통합적 대응이 이루어졌음을 소개하며 “이재민 주체성과 교단 간 연대가 중요하고, ‘모든 생명을 위한 회복’을 위한 생명목회와 기후행동 운동에도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종생 NCCK 총무는 “기후위기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니라 창조 질서와 생명의 정의가 무너지는 현상”이라며 “교회는 단순한 피난처를 넘어 영적 회복의 공간이자 정의로운 회복 사역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박 의원 역시 “국가와 지자체는 거시적 관점에서 재난을 관리하지만, 이재민 심리 돌봄과 정보 전달 등 세심한 역할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한국 개신교회가 지역사회 안전과 회복의 버팀목이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과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의 후원과 한국교회봉사단·한국교회총연합·영남지역기독교연합회 등이 주관으로 진행한 이번 컨퍼런스 결과는 정책 제안서로 정리한 후 국회와 관련 기관에 전달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