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큐메니컬 개신교계가 지난해 11월에 발표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00주년 사회선언문을 살펴보며 그 의의와 한계점, 향후 보완할 방법 등을 모색했다. NCCK(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12일(수) 오후 2시 서울 종로구에 있는 한국기독교회관에서 ‘100주년 사회선언문 후속토론회’를 개최하고, 선언문의 신학적 의미와 실천 과제를 점검한 것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백충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가 ‘선언문의 신학적 성찰’을 주제로 주발제를 맡았으며, 최형묵 천안살림교회 담임목사와 송진순 이화여대 대학교회 목사가 ‘선언문, 현장을 만나다’를 주제로 응답발제를 진행했다.
백 교수는 사회선언문을 두고 “1932년 사회신조와의 연속성 속에서 한국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으며,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정의·평화·생명(JPIC), 주변부로부터의 선교 등 현대 신학적 논의를 반영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의제 나열이 거시적이고 추상적이어서 현장감과 미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한 백 교수는 “신학적 배경 설명이 부족하고, 청년·이주민·성차별·북한이탈주민 등 구체적 목소리와 현장 중심의 접근이 더 필요하다”며 해설서 등 보완 작업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최 목사는 선언문 작성 과정에서 과거 1932년의 사회신조 평가와 소수자, 특히 성소수자 표현 등이 쟁점이었음을 밝히며 “선언문이 실천 의지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설서 등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 목사는 앞서 광주와 대구에서 열린 후속토론회에서 지역성과 현장성, 실천 가능성, 교회 내부 권위주의, 세대 간 소통 등의 한계가 지적됐음을 공유하며 “앞으로 선언문이 실천과 행동으로 이어지고, 신앙이 사회적 정의와 민주주의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제 후 이어진 토론에선 이성철 한국교회인권센터 사무국장, 이지혜 NCCK 부회장(청년위원회 소속), 한세욱 청암교회 담임목사, 이현아 예장통합 생태선교운동본부 총무 등 4명이 각각 신자유주의·젠더 및 세대·민족 화해 및 통일·기후 등 분야별로 의견을 펼쳤다.
이 사무국장은 “신자유주의를 경제정책이 아닌 통치성으로 이해해야 하며,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신자유주의의 핵심 통치 기술”이라고 지적하며 “교회가 공공성, 인권, 민주화의 연장선에서 환대와 경청의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부회장도 “선언문이 인구절벽의 원인을 경제·성차별적 구조에서 찾고, 성평등을 사회 생존의 과제로 본 점, 청년 문제를 구조적으로 분석한 점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지역 소멸, 지방 청년 여성의 이중적 소외, 교회 내부 성차별 개혁의 부재, 청년 리더십과 사각지대 청년 문제가 미흡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한 목사는 “최근 남북관계의 적대적 변화로 한반도 평화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며 “한국교회 평화통일운동이 엘리트 중심, 극우주의와의 결탁, 통일 논의 주도권 상실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평화조약 체결, 대북 적대정책 중단, 교회 내 혐오·적대 행위 금지 등 구체적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무 또한 “한국교회 내 기후위기 대응이 선언과 캠페인 수준에 머물고, 실질적 변화와 체계적 점검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물질문명 비판, 생명 중심 사회 담론, 정의로운 전환의 구체화가 필요하고, 선언문에 기독교적 비전과 생태계 전체에 대한 관점, 생태문명 전환 같은 일관된 주제가 보완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NCCK는 지난해 발표한 100주년 사회선언문을 통해 “인간의 삶이 파괴되고 피조물의 신음이 깊어가는 현실, 정의가 무너지고 평화가 파괴되고 생명의 존엄성이 말살된 세계 안에서, 교회는 정의·평화·생명의 복음을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